본문 바로가기

운동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주요 근육들

안녕하세요
트레이너 끼끼입니다.

오늘은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주요 근육들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병원을 가도 뼈에 이상이 없고
주로 진통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만성통증에 있어서 진통제는
염증 유발물질 생성을 억제해서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는 있지만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통증을 유발하는 근육과 원인을 알아보고
재활운동과 마사지 요법을 통해 관리하신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통증을 완화하실수 있습니다.



먼저 어깨 통증을 유발하는 주된 질환으로는

주로 50대 이상의 중장년층에서 주로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3-40대 젊은 층에서도
자주 발생하기도 하면서
심한 어깨 통증과 운동 제한을 일으키는 오십견

특정 자세나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하고
특히 잠들기 힘들 정도의 통증을 일으키는
회전근개 질환.



어깨 회전을 할 때 삐걱거리는 느낌이 들고
60도에서 120도 정도 들어 올리면 통증이
발생하는 어깨 충돌증후군.


흉부로부터 팔로 나가는 상완신경총의
신경이 눌려 목과 어깨의 통증과
팔에 방사통이 일어나는 흉곽출구 증후군
들이 있습니다.



어깨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근육은

첫 번째 - 삼각근


삼각근은 외부 충격으로 손상되기도 하지만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특징이 있는
근육이기도 합니다.



쇄골의 외측과 견봉에서 시작해서
상완골의 조면에 정지하고 있는 근육이며
어깨 관절을 둥글게 감싸고 있는
하나의 근육이기는 하지만

전면, 측면, 후면이 각자 개별적인 움직임을 통해
어깨 관절의 굴곡, 신전, 내전, 외전
모든 어깨 운동에 관여합니다.


두 번째 - 회전근개


회전근개는 극상근 , 극하근 , 소원근 , 견갑하근
총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되며
견갑골과 상완골을 연결하여 어깨 관절의
안정화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어깨관절의 외전과 내전, 내측 회전과 외측 회전을
일으키고

회전근개의 통증은
어깨 부위 삼각근 외측에서 유발되며
위팔(상완)과 전완의 외측을 따라
방사통이 발생합니다.

팔을 벌리는 동작이 불편해지고 뒷짐진 상태에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 팔을 안으로 모으는 동작이
제한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세 번째 - 대원근


대원근은 견갑골 하각 부위에서 시작해서
상완골 앞쪽의 소결절 능선에 부착되며


대원근이 수축할 때 상완골의 내측 회전과
모음(내전)을 일으키고 어깨관절의 신전에도
관여합니다.

다만 대원근만의 문제로 어깨관절을
크게 제한하는 경우는 드물고
삼각근 후면과 상완의 외측에서 방사통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하기 부탁드립니다🎈 *